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속 불가능 대한민국] 리뷰

 

 

 

 

 
 

 

 
 

.

 

이 책은 책을 읽기 전에

주요 키워드 정리부터 해줍니다.

 

정부 주도 -재벌 중심의 경제 체제

수직계열화 전략

슘페터주의 성장이론

넛 크래커 현상

개방형 혁신

뉴 브랜다이스 운동

 

"재벌 개혁을 핵심으로 한느 경제구조의 혁신 없이는

한국 경제와 사회가 매우 심각한 위기와 퇴행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한국 경제의 성장과 위기의 갈림길에서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의 시작점입니다.

 

주식회사 대한민국 이라고 할 만큼

한국 경제는 1960년대 이후 고도성장을 이루며 달려왔지만

그 성장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반성과 함께

기후변화의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탄소 중립으로의 이행에 대한 세계적 요구도 더욱 거세진 지금

한국 내부의 경제적 사회적 측면 외부 환경을 측면이 모두

대한민국의 혁신적인 재편을 기다리고 있다는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면서 이 책을 읽었습니다.

 

서울대 서가명가 시리즈는 어렵지만

살아가는데 필요한 교양과 삶에 품격을 더해주는 지식을 제공받을 수 있어서

늘 즐겨보게 됩니다.

서울대 교수님들의 강의를 책으로 읽는 느낌은

제 삶을 고급지게 만들어 주는 것 같아서 참 좋은데요.

어려운 용어들이나 이론도 있어서

중간중간 네이버에게 물어보면서 읽을 때도 있습니다.

 

박상인 교수님은 재벌 정책, 경제 정책, 경영 정책 등을 연구하고

다양한 학회활동과 정책 자문도 하고 계신다네요.

 

한국 경제 혁신을 위한 제언처럼

이 책의 좋은 점은

전체를 쭈욱 단계적으로 읽지 않고

더 관심 가는 부분만 골라서 먼저 읽을 수도 있고

중간 중간 건너뛰다가

또 나중에 전체를 다시 읽을 수도 있도록

편집되어 있어서 편리합니다.

 

책도 담고 있는 내용에 비해 판권이 작고 가벼워서

지하철이나 이동하는 곳에서 언제든지

펼쳐서 읽기에도 적합해서 더욱 좋습니다.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을 위해서

지속 불가능 대한민국을 위한 제언을 담은 이 책을

꼭 한 번 읽으시기를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