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시, 다시 살다] 리뷰

 

이 책은 오랜만에 만난 반가운 친구같은 느낌을 줍니다.

읽는 동안 마음이 아주 잘 맞고

관심사와 취미가 비슷한 친구와 함께

가벼운 여행을 떠나는 기분이 드는 책입니다.

친구는 아주 오래 된 사이라

운전하면서 그냥 음악만 같이 들어도

별로 불편하지 않은 사이

그러다가 문득 그때 그런 일 있었지?

그때 난 어떤 생각이 들었어. 너는?

이렇게 물어도 이상하지 않은

그런 느낌을 가진 책읽기였습니다.

도시는 성장하기도 하고

쇠퇴하기도 하고

다시 부흥하기도 하는데

그런 과정들을 거친 이후

어쩌면 잊혀지기도 하는데

또 문득 추억속에서 생각나기도 하는

그런 사이에 우리도 같은 흐름을 가지니까요.

제가 가장 관심있게 읽은 부분은

충남 당진의 아미미술관과

제주 명월국민학교 편입니다.

충남 당진의 폐교를 구입해 미술관으로 만든 아이디어와

그 곳을 찾아와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는 관광객들을 보면

우리가 원하는 공간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제주도에 있는 또다른 폐교 명월국민학교는

초등학교라는 이름으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국민학교만의 매력이 느껴지는 공간으로 재활용되었습니다.

학교의 원형을 살린채로

커피반 -카페

소품반 -기념품을 살 수 있는 곳

갤러리반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곳

그 이외에 창고, 식수대 등도 남겨놓은 공간입니다.

폐교의 슬픔을 이겨내고

추억의 공간으로 만들어낸 두 공간의 재활용이

몹시 와닿는 챕터였습니다.

당진이나 제주에 간다면

반드시 들러보고 싶어집니다.

책은 가볍게 잘 읽히고

어떤 부분을 펼쳐 읽어도 될 만큼

부담은 없지만

또 읽고 나면

어떤 사진 한 장면

어떤 글 한 줄이

오래 마음에 남기도 합니다.

좋은 도시는 무엇일까요?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 도시가 현대인에게 가장 적합한

도시일까요?

이 책은 도시를 다시 살려내서

우리 모두가 살기 좋은 공간으로 만들어 내는 것에

목적이 있는듯 합니다.

사람이나 동물처럼

도시도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변화하고 성장하고

쇠퇴하고 소멸되기도 하나봅니다.

이 책의 저자는

클리블랜드 주립대학교에서 도시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강남대학교 공공인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라고 합니다.

도시정책 , 지방자치 , 사회적경제 등으로

“사회적 경제 증진 조례의 협동조합 활성화 효과 : 공간회귀모형의 활용”(2017)

“시어메니티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분석 : 우리나라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2017)

“사회적 기업의 지역 내 확산 요인 분석”(2016)등의 논문을 썼습니다.

『지방자치의 이해』(2015), 『R을 활용한 계량분석 강의노트』(2017),

『도시, 다시 기회를 말하다 : 쇠퇴하는 도시의 일곱가지 난제 풀이』 등의 저서가 있네요.

저자는 빈 건물에는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고 합니다.

첫 번째 선택지는 방치된 건물을 허물고 새로운 건물을 신축하는 것인데 이를

최악의 대안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선택지는 남은 사람, 즉 마을에서 계속 사는 사람을 위해

그 커뮤니티가 원하는 공간으로 새롭게 꾸미는 것이라고 합니다.

노동과 도시화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리처드 세넷의

<짓기와 거주하기> 중 지어지는 건물과 실제 주민이 필요로 하는

건물의 균열에서 문제가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을 바탕으로

수없이 지어진 건물 중 공동체가 원하는 건물은 별로 많지 않아

건물은 참 많은데 우리 아이가 갈 곳은 없다고 합니다.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하는데요.

도시가 발달하건 쇠퇴한 건

도시에서 찾고 싶은 건물이 오히려 적어지는 것이

도시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세 번째 선택지는 자연에 돌려주는 것으로

옛날 도시계획에서는 공원이나 녹지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고

너무 좁은 공간에 많은 시설을 집약시키다 보니 도시가 숨을 쉴 여유가 없었는데요.

도시재생은 빈 도시를 채우는 과정이 아니라 도시를 잘 비우는 과정이라고 말합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했습니다.>